"굿바이 공인인증서"...주식 투자, 이젠 블록체인으로

http://www.sedaily.com/NewsView/1OMH98BVIN

 

도대체 이런 괴상하고 이상한 방식은 어떻게 생각을 한것인가?

해커가 51%를 해킹 하지 못하는 이상 안전하다?

 

공인인증서에 해당하는 확인하는 파일을  블록체인 개인키로 개별 암호화 하여

블록에 연결된 모든 사용자의 정보는 공유 된다.

 

쉽게 설명하면 공인인증서 DB 각각의 서로 다른 개인키로  암호화 하여 토렌토에

올려 놓았다고 생각 하면 된다.

 

해커는 이제 공인인증서 DB를 중앙 서버를 해킹할 필요도 없이 

블록을 가지고 와서 브루트 포싱해서 한개식 한개식 깨면 된다.

 

기사에도 있듯이 그렇게 취득된 정보로 거래를 하면 다시 되돌릴 방법도 없다.

 

 

또 내가 원하지 않는데 내 정보가(어떤 정보가 있을지 확실치 않으나)

범용인증서든 용도 제한용이든 개개인의 식별을 위해 주민번호가 암호화되어 들어 간다.

( 주민 번호가 아니더라도 개인을 식별할 비슷한게 들어가 있을 확률이 높음)

블록체인 블록에 돌아 다닌다면 개인정보를  제 3자에게 암호화 하여 제공

한것이라서 법률 위반의 소지도 보인다.

 

Private 블록체인은 저렇게 쓰라고 있는게 아닌거 같은데,,

저렇게 개발 하면 안전하다고 생각한 사람도 문제고,

 

금융보안연구원이나 금융위원회, 행정자치부, KISA, 학계나 기자나

다들 머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저런게 나온지 모르는걸 아닐테구,,

 

몇년 전  한 저축은행에서 저런 비슷한거 만든걸 보고 설마 대중화 될까? 하였는데

결국 이런 또 괴상 망측한 괴물이 탄생되고 말았다.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퀀텀 노드 구성  (0) 2018.06.05
블록체인 개발자 분류  (0) 2018.05.19
ICO 과정  (0) 2018.03.29
가상화폐의 위험성  (0) 2017.12.04
블록체인 활용 방안  (0) 2017.10.26
블로그 이미지

iesay

,

블록체인을 공부 하면 할수록

두가지 환경에 정말 적합한 곳이 떠오른다.

 

한곳은 등기부 등본, 또 한곳은 투표 관리 시스템이다.

 

온라인 투표 시스템

온라인 투표 시스템이라도 오프라인으로 직접 찾아가서

신분증 확인 절차는 거쳐야 된다.

 

전국의 온라인 투표장을 별도의 망으로 폐쇄망으로 IP를 부여하고,

다 블록체인으로 묶어 두고,

투표자들에게 전자지갑 주소를 나눠준다.

그리고 1coin식 준다.

 

그리고 후보들에게 전자지갑 주소를 하나식 발급한다.

개인이 기표소에서 투표 하는 순간 후보들의 전자지갑으로 1coin이 전송 된다.

개표는 후보들의 전자지갑에 전송된 코인 갯수를 조회 하면 된다.

 

블록체인으로 신뢰성이 생성 되고 테스트만 잘된다면

지금과 같은 공무원들이 야근해서 집계하는 예산과 인력을 절약할수 있다.

 

또 한곳은 등기부 등본이다.

지금 우리나라 시스템은 등기부 등본을 다 소정의 금액을 지불하고 열람을 할수 있다.

하지만 해외에서도 이미 진행중인것과 같이 한국감정원과 등기소가 연동하여 해당

 정보를 개인들에게 오픈한다면 훨신 더 빠른 정보를 습득하여 부동산 사기를

 조금이나 줄일수 있다.

 

둘다 해외에서는 이미 시행중이고 구현 방식이 그렇게 까다롭지가 않다.

우리나라도 하루 빨리 블록체인형 시스템이 빨리 구현되면 좋겠다.

 

 

 

 

'블록체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퀀텀 노드 구성  (0) 2018.06.05
블록체인 개발자 분류  (0) 2018.05.19
ICO 과정  (0) 2018.03.29
가상화폐의 위험성  (0) 2017.12.04
공인인증서 블록체인 저장에 대한 위험성  (0) 2017.10.28
블로그 이미지

iesay

,

리눅스 서버 이관 작업

2017. 10. 26. 10:38

서버 이관 작업

 

Apahce + PHP + Mysql

CAfe24의 하나의 서버를 우리쪽으로 이관 작업을 실시 하였다.

 

하나의 서버를  두대로 분리 작업을 실시 하여

WEB WAS  1대   ,,,,,,,,,, DB 1대를 두었다.

 

처음에는 이미지가 덜 복사 되었고, 이부분은 내가 작업을 하였고

두번째는 한글 파일이 제대로 안올라 왔다  DB를 덤프떠서 수작업으로

진행하니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개발과정의 php 에러를 죄다 옵션을 꺼서 처리를 하였고

DB 컨넥션이 제대로 붙이지 않는 문제가 발생 하였다.

 

DB컨넥션에서 계속 문제가 발생하여 세션 디렉토리를 변경 하였다고 한다.

잘 해결 되어서 지금은 다 잘되고 있다.

 

서버 이관작업은 한번에 되는 경우가 많이 없는거 같다.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드프레스 서버 이관  (0) 2018.09.03
PHPMailer 구글 SMTP 메일 보내기  (0) 2018.08.23
WeB 서버 튜닝  (0) 2015.12.04
취약점 점검과 모의침투 차이  (0) 2015.11.13
HTML5 활용  (0) 2015.11.09
블로그 이미지

iesay

,